반갑습니다 !


IT분야의 길잡이 처리쌤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되기위한 자격증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흔히 인터넷, 와이파이 등으로 알고있는 이것은


쉽게 생각하면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시켜주는 통로


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와이파이 등은 네트워크의 하위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되죠.





네트워크 관리사로서 일을 하게된다면


회사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 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서버쪽으로도 같이 관리를 하게됩니다.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리눅스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리눅스 관련

능력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죠.





네트워크쪽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취득을 해야하는

자격증이 있습니다.


Cisco 라는 네트워크관련 회사에서 전 세계의 네트워크 장비의

80%정도를 점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이기에

이 회사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할 수 있는 자격증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죠.





관련 자격증으로는 네트워크 관리사, CCNA, CCNP 등의 자격증이 있죠.


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의 경우엔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

중, 고등학생들이 생기부에 기입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입니다.

가산점을 받기 위해서 주로 취득하는 자격증이죠.


난이도가 있는 자격증이기에 대학생들도 많이 취득을 하는 자격증입니다.

그리고 국제자격증으로는 CCNA, CCNP 가 있죠.





CCNA는 혼자서 컴퓨터 100대에 대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자격증이구요


CCNP는 Switch와 Router 그리고 T-shoot 3가지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이 3가지에 대해서 모두 합격을 해야 CCNP 자격증이 나옵니다.

이 자격증은 컴퓨터 500대에 대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자격증이죠.


추가적으로 CCIE 라는 자격증이 있는데 

이는 해외나가야 취득이 가능하기때문에 넘어가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서버 관련해서 리눅스, 윈도우 등의 관리 능력이 필요한데

리눅스관련 자격증으로 리눅스마스터 1급정도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하는데 도움이 상당히 많이 될겁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관리사가 되기위한 자격증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분야 포함해서 IT분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요즘 채용추세는 어떤식으로 되고있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 Recent posts